본문 바로가기
모의고사 내용 분석/고1_2023년 6월 학력평가

고1_2023년 6월 학력평가 23번

by 보탬영어학원 2023. 9. 13.

23.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We tend to believe that we possess a host of socially desirable characteristics, and that we are free of most of those that are socially undesirable. For example, a large majority of the general public thinks that they are more intelligent, more fair-minded, less prejudiced, and more skilled behind the wheel of an automobile than the average person. This phenomenon is so reliable and ubiquitous that it has come to be known as the “Lake Wobegon effect,” after Garrison Keillor’s fictional community where “the women are strong, the men are good-looking, and all the children are above average.” A survey of one million high school seniors found that 70% thought they were above average in leadership ability, and only 2% thought they were below average. In terms of ability to get along with others, all students thought they were above average, 60% thought they were in the top 10%, and 25% thought they were in the top 1%!

*ubiquitous: 도처에 있는

① importance of having a positive self-image as a leader

② our common belief that we are better than average

③ our tendency to think others are superior to us

④ reasons why we always try to be above average

⑤ danger of prejudice in building healthy social networks


정답 및 해설

정답: ② our common belief that we are better than average

글은 우리가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특성을 많이 가지고 있다고 믿는 경향이 있으며, 사회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특성을 대부분 가지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는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글에서 언급되는 예시들로는 평균보다 더 똑똑하거나 공정하며, 편견이 덜하며, 차량 운전에서 더 능숙하다고 여기는 사람들의 일반 대중에 대한 믿음이 언급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매우 신뢰성 있고 어디에나 나타나기 때문에 "Lake Wobegon effect"라는 용어로 불리우며, 이는 가린슨 킬러의 가상 커뮤니티에서 묘사된 것과 비슷한 현상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 글에서 언급하는 현상은 "우리가 평균보다 더 나은 사람이라고 일반적으로 믿는" 현상이며, 이와 가장 일치하는 정답은 ② our common belief that we are better than average입니다.


문장별 해석:

We tend to believe that we possess a host of socially desirable characteristics, and that we are free of most of those that are socially undesirable.

우리는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믿고, 사회적으로 원치 않는 대부분의 특성은 가지지 않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For example, a large majority of the general public thinks that they are more intelligent, more fair-minded, less prejudiced, and more skilled behind the wheel of an automobile than the average person.

예를 들어, 대다수의 일반 대중은 평균적인 사람보다 더 똑똑하고, 더 공정하며, 편견이 적으며, 평균적인 사람보다 차량 운전에서 더 숙련되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This phenomenon is so reliable and ubiquitous that it has come to be known as the “Lake Wobegon effect,” after Garrison Keillor’s fictional community where “the women are strong, the men are good-looking, and all the children are above average.”

이 현상은 매우 신뢰할 수 있고 어디에나 나타나기 때문에 "레이크 워보건 효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는 가린슨 킬러의 가상 커뮤니티인 레이크 워보건에서 온 것으로, "여성들은 강하고, 남성들은 잘 생겼으며, 모든 어린이들은 평균 이상"이라는 표현입니다.

A survey of one million high school seniors found that 70% thought they were above average in leadership ability, and only 2% thought they were below average.

100만 명의 고등학교 졸업생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 70%가 리더십 능력에서 평균 이상이라고 생각했으며, 2%만이 평균 이하라고 생각했습니다.

In terms of ability to get along with others, all students thought they were above average, 60% thought they were in the top 10%, and 25% thought they were in the top 1%!

타인과 원활하게 지내는 능력 측면에서 모든 학생이 평균 이상이라고 생각했고, 60%는 상위 10%에 속한다고 생각했으며, 25%는 상위 1%에 속한다고 생각했습니다.


English Words and Phrases
Korean Meaning
tend
~하는 경향이 있다
possess
소유하다, 가지다
host
다수, 많음
socially
사회적으로, 사회적으로 관련된
desirable
바람직한
characteristics
특성, 특징
free of
~이 없는, ~이 아닌
most of
대부분의
undesirable
원치 않는, 바람직하지 않은
large majority
대다수
general public
일반 대중
intelligent
똑똑한, 지능 있는
fair-minded
공정한
less
덜한, 더 적은
prejudiced
편견을 가진
skilled
숙련된, 능숙한
behind the wheel
운전석에서, 차를 몰면서
automobile
자동차
reliable
신뢰할 수 있는
ubiquitous
어디에나 나타나는, 도처에 있는
come to be known as
~로 알려지게 되다
phenomenon
현상, 사건
Lake Wobegon effect
"레이크 워보건 효과"
fictional
가상의, 허구의
community
커뮤니티, 지역, 공동체
good-looking
잘 생긴, 멋진
above average
평균보다 더 좋은, 평균을 상회하는
survey
조사, 설문
high school seniors
고등학교 졸업생
leadership ability
리더십 능력
below average
평균보다 낮은
get along with others
타인과 잘 지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