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Education must focus on the trunk of the tree of knowledge, revealing the ways in which the branches, twigs, and leaves all emerge from a common core. Tools for thinking stem from this core, providing a common language with which practitioners in different fields may share their experience of the process of innovation and discover links between their creative activities. When the same terms are employed across the curriculum, students begin to link different subjects and classes. If they practice abstracting in writing class, if they work on abstracting in painting or drawing class, and if, in all cases, they call it abstracting, they begin to understand how to think beyond disciplinary boundaries. They see how to transform their thoughts from one mode of conception and expression to another. Linking the disciplines comes naturally when the terms and tools are presented as part of a universal imagination.
① difficulties in finding meaningful links between disciplines
② drawbacks of applying a common language to various fields
③ effects of diversifying the curriculum on students’ creativity
④ necessity of using a common language to integrate the curriculum
⑤ usefulness of turning abstract thoughts into concrete expressions
정답 및 해설:
정답: ④ necessity of using a common language to integrate the curriculum
① 학문 분야 간에 의미 있는 연결을 찾는 어려움
② 다양한 분야에 공통 언어를 적용하는 것의 단점
③ 학생들의 창의성에 미치는 교육과정 다양화의 효과
④ 커리큘럼 통합을 위해 공통 언어 사용의 필요성
⑤ 추상적인 생각을 구체적인 표현으로 바꾸는 유용성
주어진 글에서는 교육이 지식의 나무의 중심부에 집중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 중심부에서 가지, 작은 가지, 잎사귀가 모두 나오는데, 이것은 학문 분야 간에 공통된 핵심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모든 학문 분야는 어떤 공통된 핵심 원리나 개념에서 파생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글은 또한 이러한 핵심에서 비롯된 사고 도구를 강조하며, 이 도구들은 다른 분야의 실무자들이 혁신 과정을 이해하고 다른 분야와의 연결을 찾는 데 사용할 수 있는 공통 언어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공통 언어와 용어를 통해 학문 분야 간의 연결을 찾을 수 있으며, 학생들은 다양한 과목과 수업 간에 공통 용어를 사용하면서 다른 분야와의 연관성을 이해하게 됩니다.
따라서 글의 핵심 주제는 공통 언어와 용어를 사용하여 학문 분야 간의 연결을 강조하고, 이를 통해 학문 분야 간의 경계를 넘어 사고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학문 분야 간의 연결을 위해 공통 언어 사용의 필요성"이 가장 적절한 주제입니다.
문장별 해석:
Education must focus on the trunk of the tree of knowledge, revealing the ways in which the branches, twigs, and leaves all emerge from a common core.
교육은 나뭇가지, 잔가지, 잎이 모두 공통의 핵심에서 나오는 방식을 밝히면서, 지식의 나무 줄기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이 문장은 교육에 대한 관점과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나무의 지식'을 비유적으로 사용하여 교육의 본질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Education must focus on the trunk of the tree of knowledge": 이 부분에서, 교육은 '지식의 나무'의 '줄기(trunk)'에 주목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교육의 핵심과 핵심 개념에 집중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즉, 모든 학문 분야와 학습 내용은 어떻게든 이 핵심으로부터 파생된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revealing the ways in which the branches, twigs, and leaves all emerge from a common core": 이 부분에서는 학문 분야나 주제가 어떻게 공통된 핵심 개념에서 나오는지를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즉, 모든 학문 분야의 가지, 작은 가지, 잎사귀는 공통된 핵심 원리나 개념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합니다.
이 문장은 교육이 단순히 특정 분야나 주제에 국한되지 않고, 이를 모두 연결하여 공통된 핵심 원리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
Tools for thinking stem from this core, providing a common language with which practitioners in different fields may share their experience of the process of innovation and discover links between their creative activities.
다양한 분야의 실무자들이 혁신 과정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고 그들의 창의적 활동 사이의 연결 고리를 발견할 수 있는 공통 언어를 제공하면서, 사고를 위한 도구는 이 핵심에서 비롯된다.
이 문장은 핵심 개념에서 비롯된 사고 도구가 어떻게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 사이에서 혁신 과정을 공유하고 창의적 활동 사이의 연결을 찾는 데 사용되는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Tools for thinking stem from this core": 이 부분에서, '사고 도구'라는 개념이 '핵심(core)'에서 비롯된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모든 학문 분야에서 사용되는 사고 도구가 공통된 핵심 원리나 개념에서 파생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다양한 분야에서도 핵심 사고 도구가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개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providing a common language with which practitioners in different fields may share their experience of the process of innovation and discover links between their creative activities": 이 부분에서는 핵심에서 비롯된 사고 도구가 다른 분야의 전문가들 사이에서 공통 언어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혁신 과정을 공유하고 창의적 활동 사이의 연결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다양한 분야에서의 전문가들이 서로의 경험을 이해하고 학문 분야 간의 연관성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이 문장은 핵심 사고 도구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 간에 협력과 이해를 촉진하며, 창의성을 촉진하는 데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
When the same terms are employed across the curriculum, students begin to link different subjects and classes.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동일한 용어가 사용될 때, 학생들은 서로 다른 과목들과 수업들을 연결하기 시작한다.
이 문장은 교육과정 전반에서 동일한 용어가 사용될 때 어떤 현상이 발생하는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When the same terms are employed across the curriculum": 이 부분에서는 "교육과정 전반에서 동일한 용어가 사용될 때"라는 상황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즉, 서로 다른 학문 분야나 과목에서 공통 용어나 개념을 사용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students begin to link different subjects and classes": 여기서는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들이 "서로 다른 학문 분야와 수업을 연결하기 시작한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즉, 동일한 용어나 개념을 여러 과목에서 사용하면 학생들이 과목 간의 연관성을 보다 더 이해하고 학문 분야 간의 연결점을 찾기 시작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 문장은 공통 용어와 개념을 사용하는 것이 학문 분야 간의 경계를 허물고, 학생들이 과목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더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게 돕는다는 중요한 교육적 원칙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학생들이 동일한 용어를 다양한 맥락에서 볼 때, 그들은 더 폭넓은 시각으로 지식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게 됩니다.
|
If they practice abstracting in writing class, if they work on abstracting in painting or drawing class, and if, in all cases, they call it abstracting, they begin to understand how to think beyond disciplinary boundaries.
글쓰기 수업에서 추상을 연습하고, 회화나 그림 그리기 수업에서 추상을 연습하고, 그리고 모든 경우에 그들이 그것을 추상이라고 일컫는다면, 그들은 학문의 경계를 넘어 사고하는 방법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이 문장은 학생들이 여러 과목에서 추상(abstracting)를 연습하고, 이를 추상로 부르며, 이 과정을 통해 학문 분야 간의 경계를 넘어서는 사고 방식을 이해하게 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If they practice abstracting in writing class": 이 부분에서는 학생들이 글쓰기 수업에서 추상를 연습하는 상황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추상은 복잡한 개념이나 아이디어를 요약하고 핵심을 도출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if they work on abstracting in painting or drawing class": 여기서는 학생들이 회화 또는 그림 수업에서도 추상화를 수행한다는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시각 예술 분야에서도 개념을 추상화하고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데 관련이 있습니다.
"and if, in all cases, they call it abstracting": 마지막으로, 모든 경우에 학생들이 이것을 "추상으로(abstracting)"로 부른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모든 학문 분야에서 이 과정을 공통적으로 인식하고 동일한 용어를 사용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they begin to understand how to think beyond disciplinary boundaries": 마지막 부분에서는 학생들이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문 분야 간의 경계를 넘어서는 사고 방식을 이해하기 시작한다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즉, 추상을 통해 학문 분야 간의 연결과 상호 이해를 촉진하며, 학문적 제한을 넘어서 복합적인 사고를 개발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문장은 공통적인 사고 접근 방식을 다양한 학문 분야에 적용함으로써 학문 분야 간의 경계를 허물고 창의적인 사고를 촉진하는 교육적 가치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
They see how to transform their thoughts from one mode of conception and expression to another.
그들은 그들의 생각을 하나의 개념과 표현 방식에서 다른 방식으로 바꾸는 방법을 알게 된다.
이 문장은 학생들이 어떻게 자신의 사고를 다른 개념과 표현 방식으로 변환하는 것을 이해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They see how": 이 부분에서 학생들이 어떻게 하는지 관찰하거나 이해하는 것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to transform their thoughts": 여기서는 학생들의 사고나 생각을 변환하거나 변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이전의 사고 방식을 새로운 방식으로 변경하거나 조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from one mode of conception and expression to another": 이 부분에서는 어떤 사고 방식이나 개념의 표현 방식에서 다른 방식으로 이동한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학생들은 한 분야의 사고 방식을 다른 분야로 이동시키거나 적용할 수 있게 되며, 이는 학문 분야 간의 연결과 융합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 문장은 학생들이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의 사고 방식을 활용하여, 자신의 아이디어나 생각을 새로운 방식으로 표현하고 이해하는 방법을 배우게 되는 과정을 나타냅니다. 이것은 학문 분야 간의 융합과 창의성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되는 핵심 개념입니다.
|
Linking the disciplines comes naturally when the terms and tools are presented as part of a universal imagination.
용어들과 도구들이 보편적 상상력의 일부로 제시될 때 학문들을 연결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이 문장은 학문 분야를 연결하는 것이 언제나 당연하게 일어나며, 이것은 용어와 도구들이 보편적 상상력(universal imagination)의 일부로 제시될 때 발생한다는 아이디어를 전달하고 있습니다.
"Linking the disciplines comes naturally": 이 부분에서는 학문 분야를 연결하는 것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는 개념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즉, 서로 다른 학문 분야 간의 연결이 어려운 과정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when the terms and tools are presented as part of a universal imagination": 여기서는 연결이 자연스럽게 발생할 때, 핵심 용어와 도구들이 보편적 상상력의 일부로 제시될 때라는 조건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학문 분야 간의 연결을 촉진하고자 하는 교육 방식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문장은 학문 분야 간의 연결이 용어와 도구를 특정 학문 분야로 제한하지 않고, 보편적인 상상력과 연결시켜야 자연스럽게 발생한다는 아이디어를 나타냅니다. 즉, 학문 분야 간의 연결은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사용되는 용어와 도구들을 공통적으로 이해하고 활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창의성과 혁신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English Words and Phrases
|
Korean Meaning
|
education
|
교육
|
focus
|
집중하다[시키다]
|
trunk
|
나무의 몸통
|
reveal
|
드러내 보이다
|
branch
|
나뭇가지
|
twig
|
잔가지
|
emerge
|
나오다[모습을 드러내다]
|
core
|
핵심
|
stem from
|
~에서 생겨나다[기인하다]
|
provide
|
제공[공급]하다, 주다
|
share
|
공유하다[공통적으로 갖다]
|
process
|
과정[절차]
|
innovation
|
혁신, 쇄신
|
link
|
관련(성)[관계]; 관련짓다
|
creative
|
창조적인, 창의적인
|
activity
|
활동
|
term
|
용어, 말
|
employ
|
쓰다[이용하다]
|
curriculum
|
교육과정
|
subject
|
학과, 과목
|
class
|
수업[강좌]
|
work on
|
~에 애쓰다[공들이다]
|
case
|
경우
|
beyond
|
~을 넘어
|
disciplinary
|
학과의, 학과[학문]로서의
|
boundary
|
경계, 한계, 분계선
|
transform
|
변형시키다
|
from A to B
|
A에서 B로
|
conception
|
개념, 생각
|
expression
|
표현, 표출
|
discipline
|
학과, 학문의 부문[분야]
|
naturally
|
자연히[당연히]
|
present
|
보여 주다[나타내다/묘사하다]
|
universal
|
보편적인
|
'모의고사 내용 분석 > 고2_2023년 6월 학력평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2_2023년 6월 학력평가 26번 (0) | 2023.09.14 |
---|---|
고2_2023년 6월 학력평가 24번 (0) | 2023.09.14 |
고2_2023년 6월 학력평가 22번 (0) | 2023.09.14 |
고2_2023년 6월 학력평가 21번 (0) | 2023.09.14 |
고2_2023년 6월 학력평가 20번 (0) | 2023.09.14 |